인이어 오디오

인이어 오디오

  • 분류 전체보기 (59)
    • 이어폰 (21)
    • 헤드폰 (9)
    • 무선이어폰 (4)
    • 무선헤드폰 (6)
    • 헤드폰앰프 (5)
    • DAP (1)
    • 플레이어 (1)
    • 스피커 (6)
    • 케이블 (6)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인이어 오디오

컨텐츠 검색

태그

개방형헤드폰 커널형이어폰 밀폐형헤드폰 오디오프로 FiiO 파이널 무선스피커 하이브리드이어폰 무선헤드폰 이어폰케이블 final 평판형자석드라이버 이펙트오디오 IEM케이블 EffectAudio iem AudioPro 인이어모니터 블루투스헤드폰 노이즈캔슬링헤드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피오(3)

  • Fiio FF3S, 경량화와 밸런스를 더한 올라운더 오픈 타입 이어폰

    "FF3는 소재와 디자인 모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오픈 타입 이어폰이지만 무거워서 착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FF3S는 FF3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알루미늄 하우징으로 경량화하고 소리의 균형을 추구한 개선 모델이다." 글.사진 : 루릭 (blog.naver.com/luric) 애플 아이폰에서 3.5mm 헤드폰잭이 없어진 순간을 저는 잊지 못합니다. 무선 이어폰이 아무리 편해도 3.5mm 헤드폰잭이 지닌 장점을 강제로 없애버릴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들 말씀으로는 'KTX 개통됐다고 버스를 없애버릴 필요가 있냐!'고 하는데 참으로 적절한 비유라고 봅니다. 케이블이 거치적거리는 것은 불편하지만 유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페어링과 배터리 충전을 요구하지 않으며, 사람이 콩나물 시루처럼 들어찬 지하철 ..

    2023.12.26
  • Fiio BTR7, 블루투스 앰프와 USB 동글 앰프를 고음질로 통합하다

    "음성 통화와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미니 사이즈의 블루투스 앰프 겸 USB 동글 앰프. 스마트폰과 PC에서 소리의 고해상도와 화사함, 포근함을 골고루 누리게 해준다." 글.사진 : 루릭 (blog.naver.com/luric) 휴대 음향 기기로 고음질을 추구하겠다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음악 재생 전용으로 개발되는 고해상도 DAP를 사는 게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과 함께 사용하는 블루투스 앰프나 USB 동글 앰프가 잘 팔려나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데스크탑 오디오에서 PC를 재생기로 쓰는 것처럼, 모바일 환경에서는 스마트폰이 고성능 PC처럼 동작하며 다양한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빠릿한 반응의 대형 터치스크린으로 쓸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외장 기기로써 블루투스 앰프..

    2023.04.05
  • Fiio K7, 고성능과 확장성으로 데스크탑 오디오를 점령하는 DAC 헤드폰 앰프

    "USB, 옵티컬, 코엑시얼, 아날로그 입력을 모두 갖췄으며 AK4493SEQ DAC와 THX AAA 788+ 앰프를 탑재했다. 오디오의 기본으로서 고해상도와 든든한 출력을 갖췄는데 가격이 지나칠 정도로 좋다." 글.사진 : 루릭 (blog.naver.com/luric) 데스크탑 컴퓨터로 일하고 노는 사람들이라면, 데스크탑 컴퓨터의 사운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서 외장 DAC를 하나쯤 장만하기 마련입니다.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USB DAC를 내장한 헤드폰 앰프'이며 게이밍과 음악 감상으로 용도가 구분되기도 합니다. 게이밍 헤드폰 앰프는 가상 서라운드 효과를 탑재하며 마이크 연동 기능이 추가되고요. 음악 감상용 헤드폰 앰프는 PC에 내장된 사운드 파츠를 건너뛰고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등으로 좋은 소리를 ..

    2023.02.08
이전
1
다음
인이어 오디오
© 2023 In-Ear Audio.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